중국시가넷 - 현대 시가 - 서로 돕고 강과 호수가 어디서 왔는지 잊어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서로 돕고 강과 호수가 어디서 왔는지 잊어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강과 호수에서 서로 돕는 것보다 강과 호수에서 서로 잊는 것이 낫다'는 『장자·내변·대사』에 나오는데, 원문은 다음과 같다.
봄이 마르면 물고기들이 땅에 모여 서로 젖어 있고, 강과 호수에서는 서로를 잊는 것이 낫다. Jie 대신 Yao를 칭찬하는 대신 두 가지를 모두 잊고 그의 방식을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이 문장이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이유는 '서로 사랑하다'라는 관용어가 남편과 아내의 관계를 의미하고 친구에게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려운 상황에서 작은 힘으로도 서로를 돕는다는 비유이다. '세상에서 서로를 잊는다'는 것은 서로 돕는 것보다 더 자유롭고 자유분방한 표현이므로 연인이나 커플이 헤어진 후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과거의 동거생활을 잊고 보다 폭넓은 일에 헌신한다는 것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그리고 더 자유로운 감정생활을 해보세요.
이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오늘날 고대 문헌의 해석에는 다양한 확장과 설명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전문가라도 다양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를 할 수 있을 뿐 고대 문헌이나 시를 인용할 때 그 본래의 의미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고 규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공식적인 해석이 있더라도 사람들의 삶의 유연한 사용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것이 언어와 글쓰기의 발달 법칙입니다.
그럼 이 문장의 원래 의미는 무엇인가요? 여기에는 수천년에 걸쳐 수많은 유능한 사람들과 학자들이 있고, 이 훌륭한 책 "장자"에 대한 수많은 해석이 있기 때문에 여기의 설명은 텍스트의 원래 의미와 개인적인 의견만을 나타냅니다.
“샘물이 마르면 물고기들이 땅에 뭉쳐서 수분으로 서로 영양을 주고 침으로 서로 적셔주는 것이 강물에서 서로 잊고 편해지는 것이 좋다. 야오를 칭찬하기보다는 원한과 원한을 모두 잊어버리고 큰 길과 하나가 되는 것이 낫다."
장자의 글쓰기 습관은 다소 성급하다. 그 우화를 제외하면, 추론의 언어는 때때로 약간 신비스럽습니다. 후대의 위대한 시인 이백의 시적 방식은 실제로 장자를 모방한 것이지만, 시의 언어는 누구에게나 용납될 수 있고, 장자의 글은 때로는 읽기가 다소 어려울 때도 있다.
이 문장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해석은 '세상에서 서로를 잊는다'는 말이다. 왜 "서로를 잊는 것보다 서로 잊는 것이 낫다"는 말입니까? 마른 진흙 속에 살면서 물을 뱉으며 살아가는 물고기는 서로 모르고 강과 호수와 바다에서 행복하게 사는 것만큼 행복하지 않습니다.
정말 간단하죠? 물론 그렇지 않습니다. 다음 두 문장을 보면 야오의 현인을 찬양하고 걸의 폭정을 비난하는 것보다 모두 잊어버리고 '도'와 섞어 쓰는 것이 더 낫다. 보통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이는 옳고 그름의 분별력이 부족한 것이 아닌가? 장자는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이때 다음 문장을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남편은 나를 건강하게 해주고, 일하면서 일하며, 나를 늙게 하고, 죽어서 쉬게 해줍니다. 그러므로 내 삶에 좋은 것은 좋은 죽음이기도 하다.
"땅은 내 몸을 지탱하고, 생존으로 나를 힘들게 하고, 늙음으로 나를 쉬게 하고, 죽음으로 나를 쉬게 한다. 그러므로 나의 존재를 좋게 여기는 사람들도 그럴 것이다. 나의 죽음을 좋은 것으로 여겨도 됩니다.”
그래서 장자의 관점에서 야오의 현인과 지에의 폭정은 세상에 '도'가 존재한다는 장점과 단점일 뿐이고, 우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너무 멀리 갈 필요는 없습니다. 그들의 관심으로 그들의 몸, 미덕, 나쁜 행위는 결국 큰 길로 돌아가 자연적인 균형에 도달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큰 길의 관점에서 보면 '서로 돕는 것'과 '호수와 바다에서 수영하는 것'의 차이는 무엇인가? 차이가 없습니다. 마른 봄에 목말라 죽는 것과 결국 바다에서 늙어 죽는 것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습니다.
이 경우 '세상에서 서로를 잊는 것'에는 카르페디엠 풍미가 있다.
실제로 '강과 호수에서 서로를 잊는다'에서 강과 호수는 '도'를 비유하는 데 사용된다. 진리를 구하는 사람은 강과 호수의 물고기처럼 강과 호수의 존재를 잊어버려야 합니다. '도'의 존재를 잊어야만 우리는 진정으로 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문장에 관해서는 '대사'에 장자가 공자와 자공의 대화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지 않았다.
자공이 말했다: "감히 처방을 구하라." 공자는 "물고기가 물을 만들고, 사람이 도를 지었다. 물이 지은 것은 연못을 거쳐 영양을 얻는다." 도가 만든 것은 아무 일 없이 진정될 것이기 때문에 도교에서는 물고기와 강과 호수의 관계가 잊혀지고 사람과의 관계가 잊혀진다고 합니다.
”
“자공이 물었다: '대도(大道)를 어떻게 추구할 수 있습니까? ’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물고기는 물을 구하고, 사람은 도를 구한다. 물을 구하는 사람은 땅에 연못을 파서 풍족하게 되고, 진리를 구하는 사람은 무관심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마음이 평안해진다. 그래서 강과 호수에서는 물고기도 서로를 잊고, 도교에서는 사람도 서로를 잊어버린다고 합니다. ’”
비록 공자가 한 말이지만 이는 확실히 작가 장자의 태도이다.